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043 스팀보트 빌 주니어(1928)

1001

by 다르덴 2023. 6. 1. 18:26

본문

반응형

 

스팀보트 빌 주니어(1928)
Steamboat Bill, Jr.

감독 찰스 라이즈너, 버스터 키튼
원작 칼 하보그
출연 버스터 키튼, 톰 맥가이어
촬영 버트 헤인즈, 데버로스 제닝스
편집 셔먼 켈
개봉일 1928년 5월 12일(미국)
시간 71분
국가 미국
언어무성 영화

줄거리 윌리엄 캔필드 시니어(어니스트 토렌스 분)는 미시시피강에서 사람과 짐을 운반하는 스팀보트(증기보트)의 선주이다. 그는 어느 날 신흥부호인 킹(톰 맥과이어 분)이 거대한 자본을 앞세워 들여온 최신식 증기보트에 의해 위기에 처한다. 때마침 대학을 마친 아들 윌리엄 캔필드 주니어(버스터 키튼 분)가 돌아온다는 소식을 들은 아버지는 아들과 함께 이 위기상황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다짐한다. 그러나 돌아온 아들은 심약하고 어리바리한 그야말로 도시에 물든 대학졸업생에 지나지 않는다. 어떤 힘든 일도 감당해내는 아버지는 겉멋만 들어 돌아온 아들에게 실망하는데 한술 더떠 아들은 아버지의 원수인 킹의 딸에게 반해버린다.

《스팀보트 빌 주니어》(Steamboat Bill, Jr., 1928)는 버스터 키튼(Buster Keaton)이 주연으로 나선 미국의 코미디 영화입니다. 이 작품은 실사주의와 slapstick 코미디의 전성기에 속하며, 버스터 키튼의 특유한 스타일과 연출, 코미디적인 연기로 유명합니다.

영화는 1920년대 미국 남부의 강물항로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버스터 키튼은 약해진 아버지의 스팀보트 사업을 돕기 위해 돌아온 주인공 '빌 주니어' 역할을 맡았습니다. 그러나 그의 부주의한 성격과 서투른 기술로 인해 다양한 사고와 허물어지는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스팀보트 빌 주니어》는 그 당시의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주목받았습니다. 특히, 영화의 클라이막스에서 일어나는 대형 허리케인 장면은 놀라운 스펙터클한 시각 효과와 연출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장면은 버스터 키튼이 매우 좁은 골목길을 허리케인의 파괴적인 힘으로부터 피해가며 선명하게 표현되었습니다.

또한, 버스터 키튼은 자신의 몸과 환경을 효율적으로 활용한 유머와 스턴트를 선보였습니다. 그의 신축성과 유연성을 이용해 건물이 무너지는 장면이나 허물어지는 벽돌과의 순간적인 교감 등은 버스터 키튼의 연기와 연출력을 잘 보여주는 예입니다.

이 영화는 버스터 키튼의 탁월한 코미디 연기와 독특한 스타일, 훌륭한 액션과 스턴트, 기술적인 혁신으로 인해 대중과 비평가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특히,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버스터 키튼의 아이코닉한 모습인 큰 얼굴과 작은 몸의 비율로 재미를 극대화한 장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팀보트 빌 주니어》는 버스터 키튼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며, 그의 연기와 코미디 스타일, 기술적인 성취가 결합된 작품으로 현대 코미디 영화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클래식 코미디 영화로 여겨지며, 버스터 키튼의 재능과 창의성을 감상할 수 있는 작품입니다.

 

버스터 키튼 감독은?

버스터 키튼(Buster Keaton)은 20세기 초반 미국의 대표적인 코미디언이자 영화 감독입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우리의 환대'를 비롯해 '순백의 시대', '미국 흙수저', '가장 위대한 축구 경기', '기차 막차', '세계를 움직인 남자' 등 많은 작품으로 인기를 얻었습니다.

버스터 키튼은 슬랩스틱 코미디와 묘한 웃음을 유발하는 표정, 몸짓, 액션 등으로 유명했습니다. 그는 대부분의 영화에서 스턴트맨으로서 스스로 많은 위험한 도전을 시도하며, 놀라운 연기력과 몸 능력을 선보였습니다.

또한, 버스터 키튼은 자신만의 무대 설정과 스토리, 그리고 창의적인 촬영 기법을 도입하여 코미디 영화 장르를 발전시켰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의 환대'에서는 다양한 장소와 상황에서의 연속적인 순간들이 매우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서 미국의 여러 지역에서 촬영을 진행하는 등 혁신적인 시도를 했습니다.

이처럼 버스터 키튼은 코미디의 경계를 넘어선 새로운 영화 기술과 스타일을 개발해나가면서, 시대를 대표하는 영화인으로 남았습니다.
반응형

'10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5 어 스로우 오브 다이스(1929)  (0) 2023.06.07
044 아시아의 폭풍(1928)  (0) 2023.06.07
042 안달루시아의 개(1928)  (0) 2023.06.01
041 잔 다르크의 수난(1928)  (0) 2023.06.01
040 뉴욕의 선창(1928)  (0) 2023.06.01

관련글 더보기